<앵커>오늘(31일) 8시 뉴
페이지 정보
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Hit 3회 작성일Date 25-08-01 03:38본문
내구제
<앵커>오늘(31일) 8시 뉴스는 관세 협상 소식을 특집으로 전하겠습니다. 미국의 관세 부과를 하루 앞두고, 우리나라와 미국이 관세 협상을 전격 타결했습니다. 미국이 25%였던 관세를 15%로 낮추는 대신, 한국은 3천500억 달러, 우리 돈 487조 원을 미국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. 쟁점이었던 소고기와 쌀 시장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먼저, 합의 내용을 남승모 기자가 보도합니다.<남승모 기자>구윤철 부총리와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의 최종 담판 하루 전,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직접 우리 대표단을 만나겠다고 하면서 한미 무역 협상이 급물살을 탔습니다.30분 남짓한 백악관 면담 뒤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'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협정'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.상호관세를 25%에서 15%로 낮추는 대신,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 달러, 487조 원을 투자하는 게 핵심입니다.[구윤철/경제부총리 : 오늘 큰 틀에서의 합의는 마쳤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미국 측과 추가 협의를 통해 채워 나가야 할 것입니다.]대미 투자 487조 원은 올해 우리 정부 예산 673조 원의 72%, 지난해 GDP 2천556조 원의 19%에 달하는 액수입니다.투자금에 더해 1천억 달러, 138조 원 규모의 LNG 등 미국산 에너지도 수입하기로 했습니다.관세 15%는 일본과 유럽연합이 미국과 합의한 것과 같은 수치입니다.대미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도 일본, 유럽연합과 같은 15% 관세가 적용되고, 품목별 관세가 예고된 반도체와 의약품 등은 다른 나라들보다 더 나쁘지 않은 대우를 약속받았습니다.현재 50%인 철강과 알루미늄, 구리 관세는 그대로 유지됩니다.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의 자동차와 농산물 등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썼지만, 우리 정부는 소고기와 쌀 시장 추가 개방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.다만 검역 절차 개선과 자동차 안전 기준 관련 사항 등은 추가 협의키로 했습니다.이번 합의는 별도 합의서 없이 트럼프 대통령의 SNS로만 발표됐는데, 한미 간 '합의의 틀'인 셈이어서 실제 무역 협정서 작성까지 힘겨운 줄다리기가 계속될 전망입니다<앵커>오늘(31일) 8시 뉴스는 관세 협상 소식을 특집으로 전하겠습니다. 미국의 관세 부과를 하루 앞두고, 우리나라와 미국이 관세 협상을 전격 타결했습니다. 미국이 25%였던 관세를 15%로 낮추는 대신, 한국은 3천500억 달러, 우리 돈 487조 원을 미국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. 쟁점이었던 소고기와 쌀 시장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먼저, 합의 내용을 남승모 기자가 보도합니다.<남승모 기자>구윤철 부총리와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의 최종 담판 하루 전,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직접 우리 대표단을 만나겠다고 하면서 한미 무역 협상이 급물살을 탔습니다.30분 남짓한 백악관 면담 뒤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'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협정'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.상호관세를 25%에서 15%로 낮추는 대신,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 달러, 487조 원을 투자하는 게 핵심입니다.[구윤철/경제부총리 : 오늘 큰 틀에서의 합의는 마쳤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미국 측과 추가 협의를 통해 채워 나가야 할 것입니다.]대미 투자 487조 원은 올해 우리 정부 예산 673조 원의 72%, 지난해 GDP 2천556조 원의 19%에 달하는 액수입니다.투자금에 더해 1천억 달러, 138조 원 규모의 LNG 등 미국산 에너지도 수입하기로 했습니다.관세 15%는 일본과 유럽연합이 미국과 합의한 것과 같은 수치입니다.대미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도 일본, 유럽연합과 같은 15% 관세가 적용되고, 품목별 관세가 예고된 반도체와 의약품 등은 다른 나라들보다 더 나쁘지 않은 대우를 약속받았습니다.현재 50%인 철강과 알루미늄, 구리 관세는 그대로 유지됩니다.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의 자동차와 농산물 등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썼지만, 우리 정부는 소고기와 쌀 시장 추가 개방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.다만 검역 절차 개선과 자동차 안전 기준 관련 사항 등은 추가 협의키로 했습니다.이번 합의는 별도 합의서 없이 트럼프 대통령의 SNS로만 발표됐는데, 한미 간 '합의의 틀'인 셈이어서 실제 무역 협정서 작성까지 힘겨운 줄다리기가 계속될 전망입니다.(영상취재 : 오정식, 영상편집 : 이재성)---<앵커>관세 협상 타결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건, 저희가 이틀 전에 전해드렸던 '조선 협력 펀드'였습니다. 1천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업 패키지로 미국의 협상을 이끌어 낸 겁니다. 하지만 최종
내구제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